본문 바로가기

Git

(3)
[GIT] git Clone / Fork 차이 , PullRequest 뜻 정리 * Clone * - 복제하다. 오리지날 프로젝트의 repository를 본인의 repository로 복사한다. 복제한 프로젝트에 변경을 가하더라도, 오리지날 프로젝트에 변경사항을 push 할 수 없다.(원본 소스를 복사해 가져와서 나만 사용하는 것) * Fork * - 분기하다- 갈라지다다른 사람의 repository에서 어떤 부분을 수정하거나, 추가 기능을 넣고 싶을 때 해당 repository를내 repository로 그대로 복제한다. 오리지날 프로젝트에는 어떠한 영향을 끼치지 않고 본인의 repository로 들고와쉽게 변경을 할 수 있다. fork된 repository는 clone된 repository와는 다르게 실제 오리지날 프로젝트와연결되어있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따라서 본인의 저장소..
[GIT] github contributions(activity) 잔디 안심어지는 현상 해결방법 잔디밭이라고 불린다는 깃허브 contributions(activity) ~ 최근에 열심히 코딩하고 커밋했는데 글쎄글쎄 컨트리부션이 휑한것이다... 초록이로 가득(?) 해야하는데...ㅠㅠ 구글에서 찾아보니 역시나 ,, 해결방법이 있었다.! *이유는 github 계정에 등록된 이메일과 커밋해서 푸시를 날리는 local 환경의 이메일설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우선 깃허브 이메일을 확인해야한다. 1. 깃허브 settings로 들어간다. 2. Emails 메뉴로 들어간다. 3. 등록된 이메일을 확인한다. 4. local 환경의 git에 등록된 이메일을 확인한다. 작업중인 폴더에서 cmd 또는 git.bash를 열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git config --list 나오는 목록중 user.email= 의 값..
[GIT] 깃허브 레파지토리 생성 / 연결 항상 새로운 프로잭트 생성 - 깃허브 연결 할때 어떻게 하는지 우왕좌왕 구글링하면서 어찌저찌 하길래 기록하면서 잘 기억하려고 작성 ! * Git Repository(원격저장소) 생성 1. Repository 탭으로 들어가서 상단 왼쪽에 New를 누른다. 2. Repository 이름을 확인하고 Create repository 클릭 3. repository 생성후 왼쪽상단 code를 클릭해 로컬프로젝트에 연결할수 있는 https 주소가 나온다. * Git Hub에 파일 업로드 1. 업로드할 로컬프로젝트 폴더에 오른쪽마우스 클릭 - git bash Here를 클릭한다. 2. git init - 업로드할 소스폴더에 git init으로 로컬 저장소 생성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